지루함은 뇌가 보내는 경고 신호다
° 우울증을 유발하는 지루함
지루함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느끼는 감정이다. 강의를 들을 때, 오랫동안 어떤 일을 해야 할 때, 때로는 눈앞에 있는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는 중에도 지루함을 느낀다. 지루함은 지금 하는 행동을 그만하고 다른 것을 찾아보라고 우리 몸이 보내는 신호이기도 하다. 우리는 하루에도 몇 번씩 지루함을 느끼지만, 이 지루함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곰곰이 생각해본 적은 없을 것이다. ‘그깟 지루함이 무슨 큰 영향이 있겠어’라고 생각하겠지만, 지루함은 때로 우리가 하는 아주 중요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테크니온-이스라엘 공과대학교 연구진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1,006명이 작성한 228,052개의 페이스북 포스팅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어떤 내용이나 감정이 담긴 포스팅이 그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놀랍게도 페이스북에 ‘지루함’과 관련된 내용이 있는 경우 자살을 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지루함은 자살을 예측할 수 있는 신호였다.
벨기에 연구진이 여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폭식을 부르는 다양한 부정적 감정 중 가장 흔하고 강한 원인은 ‘지루함’이었다. 실제로 폭식이 일어난 상황의 66%에서 참가자들은 지루함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 지루함은 중요한 감정 신호이다
그렇다고 지루함이 부정적인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지루함에서 벗어나고자 기존과 다른 방법을 고민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사고를 떠올리기도 한다. 레고의 창립자 올레 키르크 크리스티얀센은 목수로 일하면서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작은 장난감을 만들었는데, 이 취미가 레고 블록이라는 혁신적인 장난감으로 발전했다. 폴라로이드 카메라의 발명자인 에드윈 랜드는 사진을 찍고 현상하는 과정을 기다리며 지루함을 느껴 사진을 바로 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한 끝에 즉석 카메라인 폴라로이드 카메라를 발명했다. 이처럼 지루함은 단순히 시간을 낭비하는 감정이 아니라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촉진하고, 성장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지루함은 지금 추구하는 목표가 아닌 다른 목표를 추구하게 하는 감정 신호로서 작용한다. 만약 이러한 신호가 없다면 한평생 같은 일만 반복하고, 제한된 경험만 하면서 살아갈 것이다. 지루함은 단순노동만 반복하는 일터에서는 불필요하고 도움이 되지 않는 감정일 수 있다. 하지만 지루함을 느끼기 때문에 다른 일에 흥미를 느끼기도 하고, 같은 일을 하더라도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진행해본다. 이는 결과적으로 우리가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하도록 이끌며, 창의적인 문제 해결에 이바지한다. 인간이 지루함을 느끼지 못하였다면, 인류는 어쩌면 아직도 식물의 열매를 따 먹거나 동물들을 사냥하며 살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지루함은 몰입으로 이끄는 나침반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우리는 흥미를 끌 만한 자극이 없을 때, 너무 잘 아는 내용이라 기대가 되지 않을 때, 해야 할 일이 너무 쉬울 때 지루함을 느낀다. 대학생에게 초등학교 저학년 수업을 듣게 하거나, 한 시간 동안 덧셈, 뺄셈만 하라고 하면 지루해서 견디기가 힘들 것이다. 이와 반대로 해야 할 일이 너무 어렵거나 이해가 되지 않아도 지루함을 느낀다. 일반인에게 물리학 전공 수업을 듣게 하면 10분도 되지 않아서 졸음이 쏟아질 것이다. 지루함을 느끼기 때문에 우리는 수준에 맞는 과업을 선택하여 그 일에 몰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몰입을 통해 성장하고 더 좋은 결과물을 얻는다.
[나는 왜 아무 것도 하기 싫을까/ 배종빈 지음/ 포레스트북스]
'세상사는 이야기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건강자료실]우리는 이미 충분히 좋은 엄마 (0) | 2025.06.26 |
---|---|
[마음건강자료실] 결국 환자들을 울게 만든 말 (0) | 2025.06.13 |
[마음건강자료실]자기돌봄: 자기달래기 (0) | 2025.06.07 |
[마음건강자료실]게으른 완벽주의자 (0) | 2025.05.16 |
[마음건강자료실]숨겨진 중독을 파악하라.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