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_admin/blogs/image/category/new_ico_5.gif)
어우, 내가 거절을 잘 못하잖아.➊ “다른 방법을 생각해볼게요”이 말은 거절, 수용, 회피 등 상대가 예상하는 모든 반응에서 빗겨나있다. 그야말로 완벽하게 모호한 대답인 것. 상대는 답답하겠지만 딱히 대안을 내기 어렵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상호 호혜성 이론이라고 부른다. 제안이 마음에 들지만 상황이 어려워 대안을 찾겠다는 사람을 핑계댄다고 느끼기 어렵다. 완곡한 거절과 동시에 매너 있는 사람이라는 인상을 준다.➋ “다음 기회엔 꼭!”미래의 가능성을 보여줘야 거절이 쉽게 수용된다. 인간은 미래 지향적 사고를 할 때 상황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과 ‘다음’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며 언급한다면 효과는 두배. “이번에는 도저히 시간이 안 나지만 다음에는 꼭 만나요.” 거절을 단기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