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사는 이야기/나의 이야기 1918

(따뜻한하루)한 번 뿐인 내 인생이니까

한 번 뿐인 내 인생이니까삶이라는 것 자체가 하나의 레시피입니다.요리할 때는 여러 재료를 한 번에 하나씩,순서대로 넣어야 합니다.인생도 마찬가지입니다.한 번에 한 가지씩 해나가야 합니다.'아, 이번 일을 잘 처리해야 하는데...''이거 했다가 망하면 어떡하지?'이런저런 생각에 휘둘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그냥 자연스러운 흐름에 자신을 맡기고,하나, 둘씩 새로운 경험을 더해나아가면 됩니다.때로는 내 의도와 관계없이삶이 펼쳐지기 마련인데 이럴 때일수록믿음을 버려서는 안 됩니다.지금 당장은 다음번에 넣을 재료 이상은생각할 수 없다 하더라도,여전히 맛있는 요리를 만들어가는 중이니깐요.그러니까 중간에 손을 놓으면 안 됩니다.간도 봐야 합니다.너무 싱거우면 소금도 더 넣어야 합니다.인생도 마찬가지입니다.내 기분을..

고난의 뒷면에 숨겨진 것

고난의 뒷면에 숨겨진 것고난으로 보이던현상의 뒷면에는 행복이 숨겨져있기도 하죠. 힘들 땐 자신에게 들이닥친상황을 달리 보는 지혜를 가져야 합니다. 몸과마음, 생각의 방향을 달리 보는 지혜를 가져야합니다. 몸과 마음, 생각의 방향을 바꾸면맞바람이 나를 밀어주는 바람으로바뀌거든요.-고영삼의 《인생2막, 고수들의 인생작법》 중에서 -

[100세 시대 생애설계] 인생2막에도 돈은 중요하다.

[100세 시대 생애설계] 인생2막에도 돈은 중요하다.최근 노인복지관에서 생애설계 특강을 진행하며 이런 질문을 던졌다.“1억원 복권 당첨과 10억원 복권 당첨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당연히 10억원을 선택할 것이라 예상했지만, 의외로 1억원을 선택한 이들도 있었다. 이유를 묻자 “너무 많은 돈이 생기면 오히려 걱정거리가 늘어날 것 같아, 소박하게 1억원 정도가 좋다”는 답이 돌아왔다.돈은 많을수록 좋을까? 최근 1조원이 넘는 재산을 이혼한 배우자에게 분할해야 하는 재벌의 이야기가 화제가 됐다. 최종 판결이 나오진 않았지만, 만약 재산의 절반을 떼어 주어야 한다면 기업의 경영권까지 흔들릴 가능성이 크다. 돈이 많아지면 행복만 커지는 것이 아니라, 걱정도 함께 늘어난다.요즘 ‘파이어족(FIRE, Financ..

(따뜻한하루)나무통의 법칙

나무통의 법칙19세기 독일의 화학자 유스투스 폰 리비히.그가 연구한 '최소량의 법칙'에 따르면,식물이 건강하고 튼튼하게 자랄 수 있도록만들어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질소나 인산, 또는 칼륨과 같은 필수영양소가 아니라평소 식물에 가장 부족한 '요소'라고 합니다.리비히의 '최소량의 법칙'을시각적으로 나타낸 법칙도 있는데,바로 '나무통의 법칙'입니다.길이가 제각기 다른 나무판자를 붙여 만든동그란 나무통 안에 물을 담을 때최대 담을 수 있는 물의 양은가장 긴 나무판자가 아니라가장 짧은 나무판자에 의해서정해진다는 법칙입니다.'최소량의 법칙'과 '나무통의 법칙'은우리의 삶 속에서도 똑같이 적용됩니다.IQ가 100, 환경이 100인 학생이라도체력이 50인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결국 아무리 IQ가 높고, 환경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