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사는 이야기/나의 이야기 1874

좋은 글 _ 가치

가치 나는 누구인가 스스로 물어야 한다. 우리가 지니고 있는 직위나 돈이나 재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써 우리가 어떤 일을 하며 어떻게 살고 있는가에 따라서 삶의 가치가 결정된다. - 법정스님 글 살아 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 - 존재의 집 말은 생각을 담는 그릇이다. 생각이 맑고 고요하면 말도 맑고 고요하게 나온다. 생각이 야비하거나 거칠면 말도 또한 야비하고 거칠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그가 하는 말로써 그의 인품을 엿볼 수 있다. 그래서 말을 존재의 집이라고 한다. - 법정스님-

인생 덕목 8가지

♠ 인생 덕목 8가지 ♠ 1. 말(言) 말을 많이 하면 필요 없는 말이 나온다. 양 귀로 많이 들으며, 입은 세 번 생각하고 열라. 2. 책(讀書) 수입의 1%를 책을 사는데 투자하라. 옷이 헤어지면 입을 수 없어 버리지만...책은 시간이 지나도 위대한 진가를 품고 있다. 3. 웃음(笑) 웃는 연습을 생활화 하라. 웃음은 만병의 예방약이며...치료약이며...노인을 젊게하고,,,젊은이를 동자(童子)로 만든다. 4. TV(바보상자) 텔레비젼과 많은 시간 동거하지 말라. 술에 취하면 정신을 잃고..마약에 취하면 이성을 잃지만..텔레비젼에 취하면 모든게 마비 된 바보가 된다. 5. 성냄(禍) 화내는 사람이 언제나 손해를 본다. 화내는 사람은 자기를 죽이고 남을 죽이며 아무도 가깝게 오지 않아서 늘 외롭고 쓸쓸하..

올해의 사자성어 '과이불개'…"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다"

"여야 할 것 없이 잘못 드러나면 남탓하고 고칠 생각 안해" 올해의 사자성어 '과이불개' [교수신문 제공]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교수들이 올 한해 한국 사회를 표현한 사자성어로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라는 뜻의 '과이불개'(過而不改)를 꼽았다. 교수신문은 전국 대학 교수 9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과이불개가 50.9%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고 11일 밝혔다. 과이불개는 논어의 '위령공편'에서 처음 등장하며 공자는 '과이불개 시위과의(是謂過矣)'(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 한다)라고 했다. 과이불개는 조선왕조실록 '연산군 일기'에도 나온다. 연산군이 소인을 쓰는 것에 대해 신료들이 반대했지만 고치지 않고 있음을 비판하는 대목이 실록에 적혀있다. 박현모 ..

긍정적인 사람이 결국 성공하는 이유

1. 태도부터 다르다. 무슨 일이든 좋기만 한 일이나 나쁘기만 한 일은 없다. 무슨 일이든 어떻게 바라보는지 태도에 따라 결과는 달라진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은 미래를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 간다. 2. 인간 관계가 좋다. 사람을 만날 때에도 그 사람의 장점을 보기 때문에 칭찬을 잘한다. 또한 감사의 표현도 잘한다. 항상 감사해하고 칭찬을 아끼지 않기 때문에 인간 관계가 좋을 수 밖에 없다. 3. 마인드 컨트롤을 잘한다. 모든 것은 마음가짐에 달려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어떤 상황에서든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누구보다 마인드 컨트롤에 강하고 자기 자신을 신뢰한다.

그러려니 하고 살자.

그러려니 하고 살자. 인생길에 내 마음 꼭 맞는 사람이 어디 있으리. 난들 누구 마음에 그리 꼭 맞으리? 그러려니 하고 살자. 내 귀에 들리는 말들 어찌 다 좋게만 들리랴? 내말도 더러는 남의 귀에 거슬리리니. 그러려니 하고 살자. ​ 세상이 어찌 내 마음을 꼭 맞추어 주랴? 마땅찮은 일 있어도 세상은 다 그런 거려니 하고 살자. ​ 사노라면 다정했던 사람 멀어져 갈 수도 있지 않으랴? 온 것처럼 가는 것이니 그저 그러려니 하고 살자. 무엇인가 안 되는 일 있어도 실망하지 말자. 잘되는 일도 있지 않던가? 그러려니 하고 살자. ​ 더불어 사는 것이 좋지만, 떠나고 싶은 사람도 있는 것이다. 예수님도 사람을 피하신 적도 있으셨다. 그러려니 하고 살자. 사람이 주는 상처에 너무 마음 쓰고 아파하지 말자. 세..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목표는 존재한다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목표는 존재한다 누구나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하나씩 성취해 가는 동안 멀게만 느껴졌던 목표가 한 걸음씩 다가오기 마련이다 나의 소화 능력을 생각하고 밥을 먹어야지 괜히 주위를 의식하고 급하게 먹는 밥은 체하기가 쉽다 남들이 밥을 거의 다 먹었다고 해서 뒤늦게 먹는 내가 씹지 않고 먹다가는 체하거나 배탈만 날 뿐이다 바쁠수록 천천히 그리고 침착하게 행하라 꾸준히 뛰어야만 마라톤의 결승 테이프를 끊을 수 있다.결국 목표는 이루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가끔 우리는 한꺼번에 모든 것을 해결하려는 욕심 때문에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그런 욕심에 얽매여 자신을 구속하고 집착에서 벗어나지 못해 허덕이게 되는 것이다 눈은 최종 목표에 고정되어 있는데 발길이 떨어지지 않는다..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

[좋아하는것, 잘하는것] 좋아하는 일과 잘하는 일 중에서 무엇을 선택할지는 여전히 호불호가 갈리지만 그래도 이일을 얼마나 버티느냐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만약, 좋아하는 일을 하려면 언제나 대가를 치러야 한다. 결론이 나지 않았을 때는 둘 중에 아무거나 하는 것이다. 뭐라도 해야 결론이 나게 된다. 그런데 하지도 않으면서 좋은 것, 잘하는 것 선택하고 있으면 시간 낭비만 하고 있을 뿐이다.

세계 최고 CEO 77인의 좌우명

​ 1. 성공하려면 귀는 열고 입은 닫아라. (존 데이비슨 록펠러/록펠러재단 창립자) 2. 때로는 한순간의 결정이 인생을 바꾼다. (나폴레옹 힐/미국 성공철학자) 3. 무조건 믿지 마라. 검증하라. (스티븐 D. 레빗/'괴짜경제학'공동저자) 4. 중요한 일을 절대 e메일로 보내지 말라. (엘리어트 스피처/미국 뉴욕주 검찰총장) 5. 타협의 범위를 최대한 넓혀라. (한스-올로브 올슨/볼보 자동차 회장) 6. 누군가를 위해서 일할 때는 진심으로 하라. (지그 지글러/미국 성공철학자) 7. 가장 훌륭한 일은 모험과 도전정신으로 이뤄진다. (윌리엄 맥나이트/3M 전 CEO) 8. 학벌이나 경력이 아닌 '태도'를 먼저 봐라. (도널드 트럼프/트럼프 그룹 창시자) 9. 돈의 힘을 제대로 이해하라. (말콤 S.포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