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사는 이야기/건강

[마음건강자료실] 행복을 결정하는 것

딸기라때 2018. 9. 2. 15:16

행복을 결정하는 것  



  
  


 "행복은'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의 문제다. 행복은 대상이 아니라 재능이다." (헤르만 헤세)

 

 

환경미화원으로 일하는 아저씨가 있었다. 이른 새벽부터 악취와 먼지를 뒤집어쓴 채 쓰레기통을 치우고 거리를 청소하는 일을 평생 해온 사람이었다. 누가 봐도 쉽지 않은 일에다 사람들에게 존경받는 직업도 아니고, 그렇다고 월급이 많은 것도 아니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표정이 늘 밝다는 점이다. 하루는 그 점을 궁금하게 여기던 한 젊은이가 이유를 물었다. 힘들지 않으시냐고. 어떻게 항상 그렇게 행복한 표정을 지을 수 있느냐고. 젊은이 질문에 대한 환경미화원의 답이 걸작이었다.

 

 

"나는 지금 지구의 한 모퉁이를 청소하고 있다네!"

    

  



이것이 바로 행복한 사람이 갖고 있는 프레임이다. 이 환경미화원 아저씨는 자신의 일을 '돈벌이'나 '거리 청소'가 아니라 '지구를 청소하는 일'로 프레임하고 있었던 것이다. 지구를 청소하고 있다는 프레임은 단순한 돈벌이나 거리 청소의 프레임보다는 훨씬 상위 수준이고 의미 중심의 프레임이다. 행복한 사람은 바로 이런 의미 중심의 프레임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내가 헛되이 보낸 오늘은 어제 죽은 이가 그토록 간절히 원했던 내일이다."

 

"다시는 사랑하지 못할 것처럼 사랑하라"

 

"늘 마지막 만나는 것처럼 사람을 대하라."  

 

가슴 벅차게 하는 말들이다. 이런 말들은 우리로 하여금세상을 다시 보게 만들고 이제까지 단 한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방식으로 주어진 시간과 사람들을 대하게 한다. 이렇게 의미 중심의 프레임으로 세상을 보는 사람들이 "그냥 하루하루 대충 사는 거지 뭐"라고 말하는 사람보다 더 의미 있고 행복한 삶을 산다는 건 자명한 일이다. 그런데 보통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갖기 쉬운 프레임은 대개 하위수준이다. '당장 먹고 살아야 하기 때문에', '귀찮아서', '남들도 다 안 하는데 뭘' 등과 같은 생각은 하위 수준 프레임의 전형이다.

 

그렇다면 상위 수준과 하위 수준 프레임을 나누는 결정적인 차이는 무엇일까? 바로 상위 프레임에서는 'Why'를 묻지만 하위 프레임에서는 'How'를 묻는다는 점이다.

 

상위 프레임은 왜 이 일이 필요한지 그 이유와 의미, 목표를 묻는다. 비전을 묻고 이상을 세운다. 그러나 하위 수준의 프레임에서는 그 일을 하기가 쉬운지 어려운지, 시간은 얼마나 걸리는지, 성공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지 등 구체적인 절차부터 묻는다. 그래서 궁금적인 목표나 큰 그림을 놓치고 항상 주변머리의 이슈들을 좇느라 에너지를 허비하고 만다. 따라서 상위 수준의 프레임을 갖고 있는 사람은 No보다는 Yes라는 대답을 자주 하고, 하위 수준의 프레임을 가진 사람은 Yes보다는 No라는 대답을 많이 한다.

 

'철수가 영희에게 꽃을 주는 행동'은 여러 수준에서 해석할 수 있다. '철수가 영희에게 꽃을 주고 있다'고 글자 그대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철수가 영희를 좋아한다'고 조금 더 추상적으로 생각할 수도 있으며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여 '철수는 로맨틱하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에겐 동일한 사건을 두고 구체적인 수준에서부터 추상적인 수준에 이르기가지 프레임을 선택할 자유가 있다. 여기서 어떤 수준의 프레임을 선택하는지가 행복과 의미추구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상위 수준의 프레임이야말로 우리가 죽는 순간까지 견지해야 할 삶의 태도이며, 자손에게 물려줘야 할 가장 위대한 유산이다. 자녀들이 의미 중심의 프레임으로 세상을 보도록 할 수만 있다면, 거액의 재산을 남겨주지 않아도 험한 세상을 거뜬히 이기고도 남을 훌륭한 유산을 물려주는 것과 다름없다.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 최인철 저/21세기북스]